카테고리 없음

민족문제연구소제천단양지회 리학효 지회장, 제천동명초등학교 설립자 황학수 독립투사

장애란 2024. 6. 12. 23:55

 
 

< #민족문제연구소(이사장 함세웅, 소장 임헌영 문학평론가)제천단양지회 #리학효(성본) 지회장- #제천동명초등학교 #설립자 #황학수 #독립투사> 4월 7일


제천동명초등학교 설립자 황학수(黄學秀, 독립투사.1879 ~1953). 호는 몽호(夢乎), 충북 제천출신,


1898년 대한제국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參尉)에 임관되었다, 그 뒤 부위(副尉)로 승진되어 육군유년학교(陸軍幼年學校)의 교관이 되었다,
1907년 8월 군대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고향인 제천으로 낙향해 동지와 협력, 부명학교( 현 제천 동명초등학교) 를 설립하고 육영사업에 전념하였다,


1919년 3.1운동에 참가 했다가 3.1운동이후에는 중국 상해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의원및 군무부 비서국장으로 선임되어 활약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이 혼미해지자 1920년 남만주로 건너가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의 참모장과 중앙집행위원 및 군사부장(軍事部長)을 역임하면서 무장독립투쟁에 헌신하였다,


1923년 북만주 신민부(新民府)의 중앙집행위원 및 참모부장에 취임해 활약하였다, 1924년에는 신민부 군사부장으로 활약하면서 군민의회(軍民議會)중앙위원을 역임하였다, 한족동향회(韓族同鄕會)이사와 한국독립당 집행위원과 한국독립군 사령도 지냈다,
1938년에는 다시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위원에 취임했다가 1939년에 임시의정원의원에 재선되었다,
조선혁명당 중앙집행위원도 겸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특파원으로 산시성 시안(西安)에 주둔 중 1941년 광복군사령부가 시안에 설치됨으로써 광복군 총사령관(광복군 총사령 대리)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충칭(重慶)에 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이 되었으며 생계부장(生計部長)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광복을 맞아 귀국, 1953년 2월 제천 금성 중전리에서 별세,


☞ 일제강점기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와 더불어 3대 대첩으로 불리는 대전자령전투외 동경성전투.쌍성보전투.사도하자전투.경박호전투등 크고 작은 전투에 참여하신 무장독립전쟁의 선봉장으로  60이 넘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광복군 모집 초모활동을 지휘하셨습니다,

 

대한제국 장교로 출발하여 독립군.광복군에 이르기까지 40여년을 군인으로 사신 독립투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1945.11.03)
황학수 장군 (광복군 총사령 서리)
임시정부 국무위원(1944년).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직원 일동( 1940. 12. 26 앞줄 왼쪽 4번째.가운데 황학수 장군, 털모자 쓰신 분은 조성환 임시정부 국무위원)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서안 판사처 직원일동(1940. 12.22 앞줄 왼쪽 3번째. 4번째는 김학규 장군)
한국 광복군 제5지대 성립기념(1941.1.1 두번째 줄 왼쪽  9번째부터 나월환. 황학수. 조성환)

한국 청년 전지 공작대 성립 1주년 기념(서안. 1940. 11.11  첫째 줄 왼쪽 3번째 조인제. 나태섭. 황학수. 송호성. 조성환. 신익희. 고흥륜. 김광. 둘째 줄 왼쪽은 초등학교음악교과서에 실린 "압록강 행진곡"을 작곡한 한형석)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후 한중 대표 기념
대한민국임시정부 신년축하회 기념촬영(1920년 1월 1일.3열 왼쪽으로부터 10번째가 황학수 장군 )
☞ 개인자격으로 귀국한 임시정부요인들
<조완구. 이시영. 김구. 김규식. 조소앙. 신익희. 황학수. 성주식. 김성숙. 김상덕. 유림. 조경한. 김봉준. 유동열. 김원봉>

사진1. 한국 독립당 환국기념(중국 충칭  임시정부청사에서 1945.11.3 앞줄 왼쪽으로부터 7번째).
임시정부요인 1진과 2진 합동 귀국 기념(경교장.1945.12.3).
안태국 애국지사 장례식( 1920. 4.14 상해 외국인묘지. 빨간 줄 왼쪽에서 4번째).
임시정부요인(충칭 임시정부청사.1945. 9 . 앞줄 오른쪽 첫번째 황학수장군).
상하이 도착(장완 비행장 1945.11.05).


사진 우측 뒤 중절모를 쓴 분이 황학수 장군( 우측 앞줄에 눈물을 훔치시는분는 이시영선생).
대종교 환국을 기념하여 쓴 글(1945.11.4)
좌측  표시부분  < 건국필성>
일본의 항복소식을 듣고 임시정부사무실에 쓴 "정의인도 춘추필법"( 독립기념관 소장).
황학수장군 서거후 추모글(김승학)
대한제국군에서 한국광복군까지 "황학수"( 한시준저).


광복군 배지(왼쪽) 광복군 총사령부, 광복군 제2지대(가운데), 광복군 제3지대(오른쪽), 광복군 모자, 광복군 완장.